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장로교회5

한국장로교, 근대사회와 근대문화 형성에 기여 한국장로교회가 한국문화에 미친 영향 / 이은선 박사(안양대) “한국장로교회는 선교사들이 전해 준 복음을 수용하면서 한국의 문명화와 복음화에 크게 기여했다.” 이은선 박사는 “한국장로교회는 한국의 근대화를 통해 근대문화를 형성하는데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근대의식과 더불어 문학, 음악, 미술, 체육, 그리고 출판 등을 통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와 구별되는 서양의 근대문화를 유입하며 한국의 근대문화 발전에 공헌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서양의 근대의식과 근대문화를 전해주는 가운데 한국의 전통문화와 전통문화와 충돌한 측면도 상당히 있었다”며 “결국 아직도 한국문화 속에 깊이 뿌리내 생활되지 못한 측면도 있다” 분석했다. 이 박사는 “오늘날 한국 사회 안에서 기독교에 대한 반감이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2015. 12. 10.
한국 장로교회 신학은 ‘장로교 신학’에 부합 한국 장로교 신학의 기원과 형성 / 문병호 교수(총신대, 조직신학) “한국장로교 신학을 논의할 때 우리의 관심을 초기 선교사들의 교단적 배경이나 그들의 신학적 입장에만 두어서는 안된다. 우리는 한국장로교 신학이 장로교 신학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일차적 관심을 쏟아야 한다. 즉, 진정 그것이 성경-역사적 장로교를 구현한 역사적 장로교였는가에 대한 질문을 먼저 던져야 한다.” 문병호 교수는 연구의 서론에서 “한국장로교 신학에 대한 논의는 단지 역사적으로만 추구돼서는 안되며 조직신학적 당위성을 먼저 다루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문 교수는 이 연구에서 역사장 장로정치 제도가 어떻게 칼빈에 의해서 이론적으로 정초됐으며, 녹스에 의해 실제적으로 수립되었는지에 대해 일차적 관심을 가졌다. 다만 역사적 사.. 2015. 12. 10.
한국장로교 초기 신앙고백, 신앙적 정체성에 관심 개혁주의 교회의 총회와 신앙고백의 역사 / 김요섭(안양대, 역사신학) “장로교회는 그 처음부터 지상에서 완전에 이르는 조직을 만들어 내려 하기보다는 하나님의 말씀을 기준으로 삼아 ‘항상 개혁되는 교회’를 세우려고 노력해왔다.” 김요섭 교수는 “이런 개혁적 노력이 한 국가의 교회 단위로 실천된 것은 개혁주의 교회가 처음으로 전국적인 조직을 갖추었던 1559년 프랑스 개혁교회 총회에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며 “프랑스 개혁 교회는 국제적, 국내적 정치 상황 속에서 많은 박해를 받았고, 종교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단순히 정치적 결집만을 추구하지 않고, 개혁주의 신앙을 통한 교회의 일치와 개혁주의적 신학의 정체성성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서론 부분에서 이 연구의 목적에 대해 “초기 프랑스 .. 2015. 12. 10.
한국장로교, 선교역사에서 교회역사로 발전 한국장로교회 총회 100주년 회고:한국장로교회의 발달단계 / 안교성 교수(장신대) “한국장로교의 역사 초기에는 주로 선교의 역사를 기준으로 삼았다. 아마도 선교부의 영향 탓일 것이다.” 한국장로교의 발전단계를 살펴 본 안교성 교수는 “한국장로교의 후반에는 점차 교회의 역사를 기준으로 삼았다”며 “이는 교회의 영향력의 증대와 맞물려가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장로교 총회 설립 100주년을 맞아 공동의 역사를 기술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그의 연구목차는 다음과 같다. Ⅰ. 서론 Ⅱ. 한국장로교 발전단계 1. 교회의 공식적 설립:독노회와 총회 설립, 1907, 1912년 2. 선교 25주년, 1909년 3. 선교 50주년, 1934년 4. 선교 75주년, 1959년 5. 선교 100주.. 2015. 12. 10.
한국사회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한국장로교회’ 한국 근대 사회와 장로교회 / 오덕교 교수(합신대) “장로교회는 은둔의 나라를 계몽해 근대 국가로 세웠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나라 잃은 한 민족의 울타리 역할을 하면서 독립 운동을 이끌거나 후원하였고, 신사참배에 대항하면서 민족의 자존심과 신앙의 자유를 지키고자 했다.” 한국장로교회의 사회적 공헌에 대해 연구한 오덕교 교수는 “해방 후 신학적 입장 차이, 지방주의, 그리고 교권주의자들에 의해 교회가 분열되는 아픔을 겪었지만 1970년대에는 민족 복음화 운동에 힘입어 세계 역사상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큰 부흥을 체험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부흥운동 이후에 나타난 교단의 분열 운동, 교회성장신학의 확산과 편파적인 인재의 활용, 그리고 개교회주의 운동 등으로 침체의 늪에 빠지게 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5. 12.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