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목회와 신학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필요한 연대 중심의 '행정 교회' 모델

by 데오스앤로고스 2021. 11. 4.
728x90
반응형

 

 

* 교회연구(65) *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연대하는 컨소시엄 모형의 행정 교회는 추상적이거나 당장 실현 가능성이 저조해 보여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형성된 시대정신이 반영되었기에 충분히 상상하고 실현할 수 있는 교회 모델이다."

 

 

민장배 박사(성결대 교수/실천신학)와 이재민 박사(성결대 교수/실천신학)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사역자에게 맡겨진 일과 교회의 본질인 예배와 선교에 힘쓸 수 있도록 효율적인 행정체계가 요구된다"라며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하나의 건물에서 각각의 목회를 유기적으로 진행하는 교회 모델인 '행정 교회'를 제시한다.

 

 

 

 

* 이 글은 목회 현장에 직접적으로 소개되진 않았지만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매우 가치 있는 소중한 연구 결과물이 한국교회 목회자와 성도들에게 많이 읽히기를 소망하면서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일부 정리한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연구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민장배, 이재민 박사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교회 행정모델 제안: ‘행정 교회’>,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제76권(2021년).

 

 

민장배, 이재민 박사(이하 연구자들)는 유기체적 교회의 회복을 강조하면서 개교회 중심을 탈피하고, 지역사회를 섬기기 위한 방향성으로 행정 교회를 제시함에 있어 먼저 이론적 배경을 다룬다.

 

 

유기체적 교회, 유기체적 행정
사도 바울에게서 배운다

 

연구자들은 교회의 본질을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표현했던 사도 바울의 유기체적 교회론에 대해 설명하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하나의 교회이자 각 교회의 은사대로 다양한 사역을 감당하며 상호존중과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목회 패러다임이 형성될 수 있다"라고 주장한다.

 

이어 "교회성장을 위한 교회 행정 방법론은 교회의 물량적 성장을 위해 세포 하나하나에 에너지를 쏟기보다 큰 기관 중심의 목회로 이어지기에 유기적 교회에 저하될 수 있는 행정체계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라며 "교회의 균형적 성장을 위해 유기적 교회 행정 방법론이 연구되고 적용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한다.

 

연구자들은 사도 바울의 사역을 중심으로 교회 행정의 성서적 접근을 시도하면서 "바울서신은 그리스도의 복음을 기반으로 그리스도인의 윤리, 질서, 행정 등 실천적인 담론을 담고 있다"라며 "오늘날 다양한 행정적 애로사항으로 에너지를 과소비하는 교회들이 행정 주체의 서비스를 제공받아 안정을 도모하고 예배와 선교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교회 행정의 모티브로 삼을 필요가 있다"라고 제안한다.

 

 

 

 

 

행정 교회를 위한
목회 패러다임의 전환

 

연구자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연대를 중심으로 한 목회사역'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행정 교회를 위한 3가지 기존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첫째, 교회 건물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이다.

 

연구자들은 "지금 시대는 소유 패러다임에서 공유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라며 "교회도 사용하지 않는 시간의 공간을 개척교회에 빌려주거나 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지역 주민들을 위해 카페, 공부방, 도서관 등의 공용 공간을 마련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 만큼 기존의 건물 소유 개념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한다.

 

둘째, 교회 연대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이다.

 

연구자들은 "교회는 내부에서 봉사와 섬김을 감당하는 것 외에도 지역사회에 주기적으로 봉사를 하며 예수님의 사랑을 실천함이 필요하다"라며 "한 교회가 지역사회를 섬기는 것보다 같은 지역 내의 교회가 연대하여 지역사회를 섬긴다면 그 선한 영향력은 더욱 확산될 것이다"라고 강조한다.

 

셋째, 교회 행정 전문화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이다.

 

연구자들은 "현대 교회는 대형화될수록 행정이 탄탄한데 비해 소규모 교회는 행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이러한 어려움은 소규모 교회들이 교회의 본질적 사명인 예배와 선교에 집중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교인으로 하여 ‘탈 교회 현상’(the post-church phenomenon)으로 이어진다"라고 주장한다.

 

이어 "일반 기업처럼 만약 행정을 전문적으로 하는 목회자(혹은 팀)가 있다면 교회는 남는 에너지를 사역에 힘쓸 수 있다"라며 "선교적 상상력을 발휘해 교회 사역에 집중하는 에너지가 행정 업무에 소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한다. 

 

 

행정 교회의 두 가지 모델

 

연구자들은 행정 교회의 목적과 관련해서 "첫째, 교회가 교회 본연의 사명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교회 행정업무를 지원한다. 둘째, 행정인력으로 소모되는 인건비를 줄여서 교회 재정 부담을 줄여준다. 셋째, 업무협약(MOU)을 맺고 있는 교회들의 협력사역을 도모하고 실천방안을 제안한다"라고 설명한다.

 

또한 업무에 따른 두 가지 행정 교회 모형을 제시한다.

 

연구자들은 "플랫폼 모형의 행정 교회는 단순 행정 지원 플랫폼이 되어 업무협약을 맺은 교회의 행정을 지원하는 모델이며 , 컨소시엄(consortium) 모형의 행정 교회에 대해서는 행정 교회가 중심이 되어 컨소시엄 모형을 이루어 하나의 건물 안에서 행정 교회를 중심으로 각각의 목회를 하며 선교적 교회를 실천하는 공동목회 모델이다"라고 설명한다.

 

 

 

 

 

컨소시엄 모델의 행정 교회
'유기체적 공동목회'

 

컨소시엄 모델의 행정 교회를 제안한 연구자들은 "'컨소시엄 모델의 행정 교회'는 유기체적 공동목회라고 할 수 있다"라며 "유기체적 교회가 서로 모여서 하나의 건물을 활용하고 조율하며 각기 다른 목회를 행사하며 새로운 유기적 교회가 되는 것이다. 이때 행정 교회의 역할은 컨소시엄으로 교회 연대가 형성되면 행정 교회는 전반적인 행정 지원을 도맡아 섬기는 것이다"라고 강조한다.

 

연구자들은 "오늘날 소규모 교회의 행정적 한계, 공간 임대료 문제, 종교부지 선점의 어려움, 상가 교회의 한계를 비롯해 교회들의 연대 필요성이 요구되는 만큼 개교회에서 탈피해 서로 연대하며 지역사회를 섬길 수 있는 컨소시엄 모델의 행정 교회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한다.

 

 

행정 교회, 어떻게 구성할까?

 

연구자들은 유기체적 교회 연대와 선교적 교회를 지향하는 교회들이 한 건물에서 각각의 목회를 하는 컨소시엄 모델 행정 교회의 구성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연구자들은 이렇게 제시한다.

 

"첫째, 행정 교회를 중심으로 컨소시엄 교회를 설립한다. 둘째, 컨소시엄의 이름이 마을 이름과 같이 유기적 목회를 위한 대표 명칭이 된다. 셋째, 다섯 교회가 행정 교회가 기획한 컨소시엄 교회 체계에 함께하기로 마음을 모은다. 넷째, 다섯 교회 대표자가 행정 교회를 중심으로 MOU를 맺는다. 다섯째, 하나의 건물에 각 교회가 서로 다른 목회를 하도록 공간을 보장하고 공용 공간을 설정한다. 여섯째, 교회의 예배와 선교의 사명 강화를 위한 주기적인 연합행사를 행정 교회에서 기획하고 진행하여 교회의 연대를 굳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선교적 교회를 실천하도록 한다."

 

교회의 연대 실천 방안에 대해서도 이렇게 제시한다.

 

"첫째, 교회 영상 제작 및 홍보가 중요해진 시점에 행정 교회에서 전문적으로 영상자료 제공, 촬영 지원, 장비 구매 지원 등의 행정을 지원할 수 있다. 둘째, 행정 교회에서 주최하고 컨소시엄 소속 교회가 주관하여 연합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지역사회 봉사를 진행한다. 셋째, 교회 공용 공간을 활용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저렴한 음료 판매, 공부방, 도서관, 운동시설 등의 문화공간으로써 각 교회가 선교적 교회로서 지역사회를 섬긴다는 인식을 갖게 한다. 넷째, 성도 및 교회 간의 분쟁이 발생하면 행정 교회에서 성경적 분쟁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각 교회가 성숙해질 수 있도록 도모한다."

 

연구자들은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연대하는 컨소시엄 모형의 행정 교회 개념이 추상적이거나 당장 실현 가능성이 저조해 보여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형성된 시대정신이 반영되었기에 충분히 상상하고 실현할 수 있는 교회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라며 연구논문을 마무리한다.


[민장배, 이재민 박사의 연구논문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교회 행정의 이론적 배경: 유기체적 교회와 교회 행정을 중심으로
 1. 유기체적 교회
 2. 유기체적 교회 행정
III. 교회 행정의 성서적 접근: 사도바울을 중심으로
IV.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교회 행정 모델 패러다임
 1. 교회 건물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2. 교회 연대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3. 교회 행정 전문화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V. 새로운 교회 행정모델 제안: ‘행정 교회’
 1. 컨소시엄 모델 행정 교회 구성 시나리오
 2. 교회 연대 실천 방안
VI. 나가는 말
RISS 검색 - 민장배, 이재민 박사의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데오스앤로고스 / 무단 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